부석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5 00:06
본문
Download : 부석사.hwp
◈ 부석사의 불교사적 위치 - 화엄사상과 정토신앙
신라에 화엄종을 처음 전한 의상이 창건한 부석사는 화엄종의 주존불인 비로차나불을 모신 대적광전과 같은 불전이 있어야 할 것인데 이와는 달리 무량수전과 안양루, 그리고 아미타소조불좌상이 안치되어 있어서 정토신앙을 반영하는 사찰임을 알 수 있다아 정토사상…(drop)
,공학기술,레포트
설명





부석사1[1]
부석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다.
부석사
순서
◈ 부석사 가람의 연혁
1. 신라 문무왕 16년(676년) 의상조사 창건.
2. 고려 현종 7년(1xxx) 원융국사가 무량수전을 중건.
3. 고려 선종 4년(1201) 조사당을 단청.
4. 고려 공민왕 7년(1358) 왜적의 병화에 화재를 입다.
이상에서 보면 부석사의 가람은 창건 이래 무량수전과 조사당이 중요시되어왔고, 따라서 그의 중수와 보수 등이 끊임없이 이루어져 오늘에 이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아 이것은 이 가람의 성격을 이해하는데 있어 무량수전과 조사당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하고 있는 것이다.
17. 1969년 무량수전 번외불사.
18. 1977~1980년에 걸쳐 사역을 정화하여 일주문, 천왕문, 숭당 등을 신축하다.부석사1[1] , 부석사공학기술레포트 ,
레포트/공학기술
Download : 부석사.hwp( 51 )
부석사에 대한 입니다.
5. 고려 우왕 2년(1376) 원응국사가 무량수전을 중수.
6. 고려 우왕 3년(1377) 원응국사가 조사당을 중건.
7. 조선 성종 21년(1490) 조사당 중수.
8. 조선 성종 24년(1493) 조사당 단청.
9. 조선 선조 6년(1573) 조사당 일부 개수.
10. 조선 선조 11년(1578) 명종 10년(1555)에 화재로 소실된 안양루 중건.
11. 조선 광해군 3년(1611) 무량수전 중수.
12. 조선 경종 3년(1723) 무량수전 본존불 개금.
13. 조선 영조 23년(1747) 1746년 화재로 소실된 승당, 만월당, 서별실, 만세루, 범종각 등을 중수.
14. 조선 영조 44년(1765) 무량수전 본존불 개금.
15. 1916년 무량수전, 조사당 해체 수리.
16. 1967년 부석사 동쪽 옛 절터에서 쌍탑을 옮겨 범종각 앞에 세우다.